2011년 11월 2일 수요일
집단지성을 활용한 교사커뮤니티 설계-아이디어 스케치(?)
음, 주제를 어떤 걸 해야할까 생각하다가,
이 앞의 글에서 달았던 사족을 확장시켜보려고 합니다.
교육과정이 정해져 있고, 전달해야할 내용이 꽤 고정되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기보다도
교사간의 집단지성 커뮤니티를 설계하는 편이 흥미있어 보여서요 ^^
음. 사실 블로그에 쓰기가 좀, 많이 쑥스러울 정도로 아직은 구체화 된 것은 없습니다만.
그래도 일단 생각한 부분까지는 써 보겠습니다.
학기 초에 찰스 리드비터의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를 읽으면서부터
통합교과과정 개발에 집단지성 모델을 적용하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집단지성이 제대로 구현(?)되기위한 조건들 중,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는 주제(라고 해야할지 목적이라고 해야할지.)여야 한다는 점과, 집단이 창의성을 가지고 탐구할만한 주제가 있어야 한다는 부분을 보면서 가장 먼저 떠올랐던 것이 통합교과과정 개발이었습니다.
어떤 통합교과과정에서 중심이 되는 토픽(?)이 있을 것이고,
그것을 공유된 멘탈 모델로 두고 각 교과 전문가인 교사들이 협력하여
새로운 교과과정을 만들어내는 과정은
다양한 구성원이 필요하고 또 창조적인 활동이 필요한 일이니까요.
그런데, 좀더 시간이 지나면서 생각해보니 굳이 통합교과과정 개발뿐 아니라,
교육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은 다양한 관점으로 볼 수 있고 창의적인 방법들을 찾아볼 꺼리(?)들이 많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육현장의 문제들에는 교과 외적인 것들도 많고, 개인의 관점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들도 많습니다. 이런 문제들을 다루는 것은 대게 창조형보다는 기여형이 될 가능성이 많긴 하지만, 아무튼 집단지성으로 접근해 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질적인 집단의 참여를 염두에 둘때, 교사들의 경우 타 교과 교사만 아니라 다른 학교급의 교사와 의견교환이 새로운 관점을 가지게 해 줄수 있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집단'의 규모는 아니지만, 실제로 한 중학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가 각자의 학생들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을 들은 적이 있는데, 관점의 차이가 있었고 그 차이에서 양쪽다 학생에 대한 통찰을 얻어가는 걸 목격한 적이 있습니다.
..........................................
이번학기에 듣는 학부과목 중 '교직과 교사'라는 과목이 있는데요, 여기에서 교직 사회의 특성으로 지적하는 것 중의 하나가 교사와 교사간의 관계가 대단히 '독립적'이라는 것입니다. 서로의 수업에 대해서 상관하지 않고, 상호 교류가 없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교사 집단의 전문성이 약한 이유를 여기에서 찾더라구요. 모든 교사는 먼저 교사가 된 사람들의 노하우라던지 그런 것을 받는 것이 아니라 각자 따따로 맨땅에 헤딩하듯이 시작하기 때문에 '전문직'으로 분류되는 다른 직업군에 비해 전문성이 낮다고 지적합니다.
아직 제대로 자세히 설계되진 않았습니다만, 아무튼 교사들이 참여하는 집단지성 커뮤니티가 만들어진다면, 교사집단의 전문성 부족과 같은 꽤 큰 문제들의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